고전문학 읽은 척 매뉴얼
장점: 재미있는 문체, 작품의 의미 및 철학적 배경등을 자세히 알 수 있음
단점: 철학이나 사조등 어려운 내용이 있음. 실제로 읽은 척하기는 쉽지 않음
감상: 작품을 실제로 읽고 다시 보면 더욱 괜찮을 듯
[고전문학 읽은 척 매뉴얼] 읽다.
필명 '너부리'인 딴지일보의 편집장 김용석이 쓴 책이다. 딴지일보 출신답게 익살스러운 문체가 가득하지만, 그 다루는 내용은 결코 가볍지 않다. 이렇게 '똑똑한' 사람이 왜 딴지일보 같은데서 썩고 있는지 궁금해진다.
이 책의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, 고전문학 작품을 읽은 척하기 위해 필요한 몇 가지 팁을 알려주는 것이 표면적인 구성이다. 그것도 유치하게 읽은 척하여 몇 마디 질문에 금방 뽀록 나는 것이 아닌, 실제로 읽은 사람에게도 주눅들지 않고 읽은 척을 끝까지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.
그것은 아래에서 보듯이 살짝 디테일을 곁들이는 것이다.
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 책의 주 목적이 아는 척 하기 위한 속물이나 예비 사기꾼을 위한 것은 아니다. 이 책의 내용을 읽다보면 여기서 말하는 대로 읽은 척을 하기 위해 알아야하고 외워야할 것 들을 철저히 준비하려하다보면 차라리 실제로 책을 읽는 것이 나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.
이 책의 본 목적은 해당 고전문학작품의 의미와 작가의 본래 의도에 대한 핵심을 파헤치고 분석하는 본격 문학 작품 분석에 가까운 것이라 할 수 있겠다.
예를 들어, '자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'는 책이 유명하다고 해서 한번 읽어보려고 시도했던 사람은 '경로당에서 무허가 만병통치약을 파는 사람의 말투'로 무슨 뜻인지 알듯 모를듯한 이야기만 반복하며 스토리는 거의 안보이는 이 책의 내용을 보고 중간에 집어던지거나 졸다보다하면서 겨우 책의 마지막 장은 덮었지만 '이게 왜 고전이고 유명한 작품이지?"라고 스스로에게 물어보면 그동안의 자신의 노력이 시간낭비였다는 사실을 인정해야할까봐 서둘러 다른 책으로 넘어가 버린 이들이 대부분일거라고 생각한다.
이런 사람들에게 이 책이 왜 유명하며 고전이라고 인정되는 작품인지를 알려주는 것이 이 책의 주 목적이다. 어려운 책에 대한 설명을 하기에 그 내용이 쉽지는 않겠지만, 최소한 문체는 재미있다. (위 사진을 참고하라)
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작품은 다음과 같다
죄와 벌
자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
에덴의 동쪽
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
농담
1984
호밀밭의 파수꾼
채털리 부인의 사랑
데미안
이방인
위대한 개츠비
그리스인 조르바
목로주점
나는 이 중에서 끝까지 읽은 책은 4권밖에 없다(죄와 벌, 자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, 1984, 데미안) 하지만 지금까지 그 의미가 무엇인지, 왜 사람들이 이 작품을 고전이라고 부르는지는 모르고 있었다. 중간쯤 읽다 무슨 말인지도 모르고 그저 책이 빨리 끝나기만을 바라며 무의식적으로 책장을 넘겼던 기억이 난다.
'에덴의 동쪽'과 '이방인'은 '세계문학전집'을 사면서 딸려왔기에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읽을 수 있지만, 엄두를 못 내고 있는 이유는 위의 4권을 읽으면서 느꼈던 좌절감을 다시 느낄까봐서이다.
하지만, '고전문학 읽은 척 매뉴얼'을 다 보고 나니, 한번 시도해볼까하는 생각도 든다. 특히 '그리스인 조르바'라는 작품이 매력적으로 느껴진다.
댓글
댓글 쓰기